'KT 소액결제' 용의자는 중국인…'기지국' 어떻게 구했나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KT 가입자들의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중국 국적의 유력 용의자 2명을 검거했다. 이들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이용해 해킹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등 혐의로 중국교포 A(48) 씨를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긴급체포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공범인 중국교포 B(44) 씨를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같은 날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서 긴급체포했다.
이들은 소형 기지국 장비를 확보해 이 같은 일을 벌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장비는 통신에 쓰이는 각종 설비와 안테나 등으로 이뤄져 있는데, 경찰은 이 장비가 펨토셀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범행에 사용된 불법 펨토셀은 2개이며, 이 불법 펨토셀은 KT의 초소형 기지국 체계를 따랐지만 자사 관리망에는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 KT에서 운영하던 장비를 A씨 등이 입수해 범행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비 철거 과정에서 ID는 삭제됐지만 폐기되지 않고 외부에 유출돼 범행에 이용됐다는 것이다.
한 KT 직원은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집에 펨토셀을 설치했다가 이사 갈 때 KT에 수거를 요청해도 가져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럴 경우 빈집이나 상점에 방치된다"고 전했다.
국내 중고 제품 판매 사이트에서는 펨토셀을 판매한다는 글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 장비를 어떻게 활용해 무단 소액결제를 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소액결제는 ARS 인증을 통해 이뤄졌는데, A씨의 경우 불법 펨토셀을 통해 피해자의 휴대전화 통신 신호를 가로챘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수사 초기 단계로 구체적인 수법에 관해서는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등 혐의로 중국교포 A(48) 씨를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긴급체포했다고 17일 밝혔다.
또 공범인 중국교포 B(44) 씨를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같은 날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서 긴급체포했다.
이들은 소형 기지국 장비를 확보해 이 같은 일을 벌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장비는 통신에 쓰이는 각종 설비와 안테나 등으로 이뤄져 있는데, 경찰은 이 장비가 펨토셀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범행에 사용된 불법 펨토셀은 2개이며, 이 불법 펨토셀은 KT의 초소형 기지국 체계를 따랐지만 자사 관리망에는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 KT에서 운영하던 장비를 A씨 등이 입수해 범행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비 철거 과정에서 ID는 삭제됐지만 폐기되지 않고 외부에 유출돼 범행에 이용됐다는 것이다.
한 KT 직원은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집에 펨토셀을 설치했다가 이사 갈 때 KT에 수거를 요청해도 가져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럴 경우 빈집이나 상점에 방치된다"고 전했다.
국내 중고 제품 판매 사이트에서는 펨토셀을 판매한다는 글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 장비를 어떻게 활용해 무단 소액결제를 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소액결제는 ARS 인증을 통해 이뤄졌는데, A씨의 경우 불법 펨토셀을 통해 피해자의 휴대전화 통신 신호를 가로챘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수사 초기 단계로 구체적인 수법에 관해서는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