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벌면 전기료로 2500만원 내야”… 외풍 겪는 韓철강, 안에서도 휘청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산업용 전기료 3년새 70%넘게 올라
美-中보다 비싸고 정부 지원도 적어
정부 “이달중 철강 지원방안 발표”
중국산 제품의 저가 공세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등으로 고사 상태에 빠진 국내 제조업계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자제 등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철강과 석유화학 등 업계는 “경쟁국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에 국가 지원까지 받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따라잡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다.
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철강업계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8%다. 2021년엔 12%가 넘었지만 2022년 이후 수치가 급감했다. 중국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던 철강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저가 공세’가 시작되면서 가격 경쟁을 위해 이익을 희생한 결과다.
여기에 최대 수출 시장인 유럽연합(EU)에서 7일(현지 시간) 관세율 50%를 적용하겠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업계에서는 더 버티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특히 최근 급격하게 상승한 산업용 전기요금 때문에 에너지 비용이 증가해 더욱 수익을 내기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2021년 1kWh당 105.5원 수준이던 산업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81.8원까지 급등했다. 3년 새 70% 이상 인상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철강업계의 총매출 대비 전기요금 비율도 약 15%에서 25%까지 급등했다. 1억 원어치 제품을 팔면 이 중 2500만 원을 전기요금으로 내는 셈이다.
반면 경쟁국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미국의 전기요금은 1kWh당 112원, 중국도 116원 수준이다. 여기에 이들 국가는 석탄 고로를 전기 고로 등으로 바꾸는 탈탄소 경영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정부 지원도 받고 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을 포함해 2024년 기준 독일은 10조2000억 원, 일본 3조5000억 원, 미국 2조8000억 원, 중국은 1조5000억 원 수준의 지원이 제공된다”며 “반면 한국은 2700억 원에 그치는 것으로 계산됐다”고 설명했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에너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싼 해외에 생산 시설을 구축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될 경우 국내 고용 시장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각종 지원을 통해 국내에서 안정된 생산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업계의 목소리에 정부도 대책 마련을 시작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날 수출입 물류의 수도권 관문인 인천항을 찾아 “10월 중 관계 부처 합동으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차관은 “글로벌 공급과잉에 대한 품목별 대응 방향 정립, 불공정 수입에 대한 통상 방어 강화, 수소 환원 제철·특수탄소강 등 철강산업의 저탄소·고부가 전환 투자 확대 지원, 안전관리·상생협력 강화 등이 포함될 것”이라며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000억 원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도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美-中보다 비싸고 정부 지원도 적어
정부 “이달중 철강 지원방안 발표”
중국산 제품의 저가 공세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등으로 고사 상태에 빠진 국내 제조업계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자제 등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철강과 석유화학 등 업계는 “경쟁국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에 국가 지원까지 받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따라잡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다.
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철강업계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8%다. 2021년엔 12%가 넘었지만 2022년 이후 수치가 급감했다. 중국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던 철강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저가 공세’가 시작되면서 가격 경쟁을 위해 이익을 희생한 결과다.
여기에 최대 수출 시장인 유럽연합(EU)에서 7일(현지 시간) 관세율 50%를 적용하겠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업계에서는 더 버티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특히 최근 급격하게 상승한 산업용 전기요금 때문에 에너지 비용이 증가해 더욱 수익을 내기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2021년 1kWh당 105.5원 수준이던 산업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81.8원까지 급등했다. 3년 새 70% 이상 인상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철강업계의 총매출 대비 전기요금 비율도 약 15%에서 25%까지 급등했다. 1억 원어치 제품을 팔면 이 중 2500만 원을 전기요금으로 내는 셈이다.
반면 경쟁국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미국의 전기요금은 1kWh당 112원, 중국도 116원 수준이다. 여기에 이들 국가는 석탄 고로를 전기 고로 등으로 바꾸는 탈탄소 경영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정부 지원도 받고 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을 포함해 2024년 기준 독일은 10조2000억 원, 일본 3조5000억 원, 미국 2조8000억 원, 중국은 1조5000억 원 수준의 지원이 제공된다”며 “반면 한국은 2700억 원에 그치는 것으로 계산됐다”고 설명했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에너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싼 해외에 생산 시설을 구축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될 경우 국내 고용 시장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각종 지원을 통해 국내에서 안정된 생산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업계의 목소리에 정부도 대책 마련을 시작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날 수출입 물류의 수도권 관문인 인천항을 찾아 “10월 중 관계 부처 합동으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차관은 “글로벌 공급과잉에 대한 품목별 대응 방향 정립, 불공정 수입에 대한 통상 방어 강화, 수소 환원 제철·특수탄소강 등 철강산업의 저탄소·고부가 전환 투자 확대 지원, 안전관리·상생협력 강화 등이 포함될 것”이라며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000억 원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도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