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일해야 해요"…조기 퇴직한 50대 구직자 확 늘더니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50대 이상 중장년 구직자 76.7% 증가
70대 이상 여성 구직자 184.9%↑
생산·건설·노무, 외식·음료 등 생활밀착형 업직종 선호
중장년층 구직자가 전년 동기 대비 76.7% 증가하며 재취업 시장의 활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조기 퇴직 및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가속화로 인해 중장년층의 재취업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이 2025년 상반기 이력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이력서 등록이 7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40대 이하 구직자들의 이력서 증가율(33.9%)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성별로는 50대 이상 남성의 이력서 증가율이 85.9%로 여성(64.9%)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 62.9%, 60대 104.4%, 70대 이상 152.0%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력서 증가율 또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70대 이상 여성 구직자의 이력서 증가율은 184.9%로 전 연령대와 성별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장년 구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업직종은 생산·건설·노무(27.6%)로 나타났으며 , 외식·음료(18.6%) 역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뒤이어 운전·배달(15.8%), 서비스(15.4%), 매장관리·판매(7.2%), 사무직(4.9%) 순으로 집계됐다. 세부 업직종으로는 생산·제조(8.4%), 주방보조·설거지(6.7%), 서빙(5.8%), 보안·경비(4.9%), 청소·미화(4.9%)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성별 선호 업직종을 살펴보면, 중장년 남성은 생산·건설·노무(35.3%), 운전·배달(26.0%), 서비스(16.3%) 순으로 선호했으며 , 중장년 여성은 외식·음료(36.2%), 생산·건설·노무(16.2%), 서비스(14.1%) 순으로 나타났다.
벼룩시장 관계자는 “평균 수명은 늘고 있지만 은퇴 시기가 빨라지면서 재취업을 희망하는 중장년 구직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70대 이상 여성 구직자 184.9%↑
생산·건설·노무, 외식·음료 등 생활밀착형 업직종 선호
중장년층 구직자가 전년 동기 대비 76.7% 증가하며 재취업 시장의 활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조기 퇴직 및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가속화로 인해 중장년층의 재취업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이 2025년 상반기 이력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이력서 등록이 7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40대 이하 구직자들의 이력서 증가율(33.9%)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성별로는 50대 이상 남성의 이력서 증가율이 85.9%로 여성(64.9%)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 62.9%, 60대 104.4%, 70대 이상 152.0%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력서 증가율 또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70대 이상 여성 구직자의 이력서 증가율은 184.9%로 전 연령대와 성별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장년 구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업직종은 생산·건설·노무(27.6%)로 나타났으며 , 외식·음료(18.6%) 역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뒤이어 운전·배달(15.8%), 서비스(15.4%), 매장관리·판매(7.2%), 사무직(4.9%) 순으로 집계됐다. 세부 업직종으로는 생산·제조(8.4%), 주방보조·설거지(6.7%), 서빙(5.8%), 보안·경비(4.9%), 청소·미화(4.9%)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성별 선호 업직종을 살펴보면, 중장년 남성은 생산·건설·노무(35.3%), 운전·배달(26.0%), 서비스(16.3%) 순으로 선호했으며 , 중장년 여성은 외식·음료(36.2%), 생산·건설·노무(16.2%), 서비스(14.1%) 순으로 나타났다.
벼룩시장 관계자는 “평균 수명은 늘고 있지만 은퇴 시기가 빨라지면서 재취업을 희망하는 중장년 구직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