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쌍용1차, 49층·999세대로 재건축…마천4구역엔 1천254세대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흑석9구역·홍제3구역 정비사업도 서울시 심의 통과
서울 강남구 대치쌍용1차 아파트가 최고 49층, 999세대 규모의 수변친화형 주거단지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지난 7일 제7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를 열어 '대치쌍용1차 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변경)' 심의안을 수정 의결 및 조건부 의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대치쌍용1차 아파트는 기존 5개 동, 15층, 630세대의 노후 아파트(1983년 준공)에서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6개 동, 최고 49층, 999세대(공공임대 132세대) 규모의 단지로 탈바꿈한다.
특히 양재천을 연결하는 녹지네트워크가 조성된다.
단지 내 소규모 공원과 열린 공간을 조성해 지역 주민이 양재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수변친화 생활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영동대로변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도 도입한다.
서울형 키즈카페, 다함께 돌봄센터, 어린이집을 계획해 아이를 키우기 좋은 주거환경을 만드는 한편, 가로에 면한 연도형 상가와 어울림 마당을 계획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한다.
아울러 양재천 산책로와 대모산에서의 조망 등을 고려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계획했다.
이번 통합심의에서는 '거여·마천 재정비촉진지구 마천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변경)' 심의안도 조건부 의결됐다.
이에 따라 마천동 323번지 일대에 지하 4층∼지상 33층, 10개 동, 1천254세대(공공임대 286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이 건립된다.
내년 착공 예정이며, 근린생활시설과 부대복리시설도 함께 생긴다.
단지 외관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산봉우리에 걸려 있는 구름을 형상화한 디자인과 폭포수가 연상되는 디자인을 적용한다.
한 폭의 풍경화 같은 단지 경관을 표현하기 위한 조경과 실내에서 남한산성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게 계획한 것이 특징이다.
파노라마뷰 타입 147세대, 세대 분리형 타입 101세대, 복층형 펜트하우스 8세대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단위세대 특화설계도 반영했다.
이밖에 '흑석재정비촉진구역 흑석9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변경)' 심의안과 '홍제3구역 주택재건축 사업(변경)' 심의안도 전날 통합심의를 조건부 통과했다.
흑석동 90번지 일대에는 20개 동, 지하 7층∼지상 25층, 1천540세대(공공임대 262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심의를 거쳐 주변 경관과 조화로울 수 있게 건축물 입면 디자인을 개선했으며, 기존에 소규모 2개소로 계획했던 어린이집을 1개소로 통합하고 시설 규모를 확대했다.
주민 의견을 반영해 신설되는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은 전망대와 라운지 등으로 구성된다. 분산 배치된 시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연결통로도 신설한다.
홍제동 104-41번지 일대에는 9개 동, 23층, 620세대(공공임대 55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지역 주민의 휴식 공간이 될 공원이 건립된다.
단지 중앙부에 인왕산 방향으로의 통경축을 확보해 보행통로와 녹지가 어우러진 주민 쉼터를 조성하고, 무악재역과 가까운 통일로변에는 서울형 키즈카페를 설치한다.
특히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을 추진해 친환경 단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앞으로도 노후 단지의 신속한 재건축사업 추진과 노후 주거지역 정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대치쌍용1차 아파트가 최고 49층, 999세대 규모의 수변친화형 주거단지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지난 7일 제7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를 열어 '대치쌍용1차 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변경)' 심의안을 수정 의결 및 조건부 의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대치쌍용1차 아파트는 기존 5개 동, 15층, 630세대의 노후 아파트(1983년 준공)에서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6개 동, 최고 49층, 999세대(공공임대 132세대) 규모의 단지로 탈바꿈한다.
특히 양재천을 연결하는 녹지네트워크가 조성된다.
단지 내 소규모 공원과 열린 공간을 조성해 지역 주민이 양재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수변친화 생활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영동대로변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도 도입한다.
서울형 키즈카페, 다함께 돌봄센터, 어린이집을 계획해 아이를 키우기 좋은 주거환경을 만드는 한편, 가로에 면한 연도형 상가와 어울림 마당을 계획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한다.
아울러 양재천 산책로와 대모산에서의 조망 등을 고려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계획했다.
이번 통합심의에서는 '거여·마천 재정비촉진지구 마천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변경)' 심의안도 조건부 의결됐다.
이에 따라 마천동 323번지 일대에 지하 4층∼지상 33층, 10개 동, 1천254세대(공공임대 286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이 건립된다.
내년 착공 예정이며, 근린생활시설과 부대복리시설도 함께 생긴다.
단지 외관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산봉우리에 걸려 있는 구름을 형상화한 디자인과 폭포수가 연상되는 디자인을 적용한다.
한 폭의 풍경화 같은 단지 경관을 표현하기 위한 조경과 실내에서 남한산성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게 계획한 것이 특징이다.
파노라마뷰 타입 147세대, 세대 분리형 타입 101세대, 복층형 펜트하우스 8세대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단위세대 특화설계도 반영했다.
이밖에 '흑석재정비촉진구역 흑석9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변경)' 심의안과 '홍제3구역 주택재건축 사업(변경)' 심의안도 전날 통합심의를 조건부 통과했다.
흑석동 90번지 일대에는 20개 동, 지하 7층∼지상 25층, 1천540세대(공공임대 262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심의를 거쳐 주변 경관과 조화로울 수 있게 건축물 입면 디자인을 개선했으며, 기존에 소규모 2개소로 계획했던 어린이집을 1개소로 통합하고 시설 규모를 확대했다.
주민 의견을 반영해 신설되는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은 전망대와 라운지 등으로 구성된다. 분산 배치된 시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연결통로도 신설한다.
홍제동 104-41번지 일대에는 9개 동, 23층, 620세대(공공임대 55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지역 주민의 휴식 공간이 될 공원이 건립된다.
단지 중앙부에 인왕산 방향으로의 통경축을 확보해 보행통로와 녹지가 어우러진 주민 쉼터를 조성하고, 무악재역과 가까운 통일로변에는 서울형 키즈카페를 설치한다.
특히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을 추진해 친환경 단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앞으로도 노후 단지의 신속한 재건축사업 추진과 노후 주거지역 정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